Archive for category: News

cleanroom

클린룸 (CLASS 100 / CLASS 1000) 제조시설 보유

㈜ 호진플라텍 팔곡 공장에 클린룸 CLASS 100 및 CLASS 1000 시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 반도체 등의 최첨단 공정에 사용되는 초고순도 및 초정밀 공정 약품 생산 가능하니, 많은 성원부탁드립니다. 감사합니다....

Read More
병역지정업체

㈜호진플라텍 2023년 병역지정업체 선정

안녕하세요, 호진플라텍입니다. 당사 호진플라텍은 2023년 4월 24일부터 병역지정업체(연구기관)로 신규 선정이 되었습니다. (병역법 제36조 및 병역법 시행령 제74조에 의거) 많은 관심과 지원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...

Read More
Permalloy

니켈-철 합금 도금액 개발 (Ni-Fe Permalloy Hoplalloy NF-20)

안녕하세요, 호진플라텍입니다. 니켈-철 합금 도금액이 신규 출시되었으니,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. Hoplalloy NF-20은 니켈-철에 대하여 철 함량 10~63% 범위의 다양한 합금 비율 구현이 가능하며 저속 도금 공정 적용 시 안정적이며 낮은 열팽창계수 및 전자...

Read More
SupraSol WLS

웨이퍼 범프 도금 약품 개발 (Lead-Free Solder Bump Plating, SupraSol WLT/WLS)

img.attachment-post-thumbnail.size-post-thumbnail.wp-post-image {display: none;}     안녕하세요, 호진플라텍입니다. 웨이퍼 범프 도금용 제품이 신규 출시되었으니,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. 반도체 웨이...

Read More
PFA05

(주)호진플라텍 2022년 일자리 우수기업 선정

  경기도, 신규 일자리 우수기업 72개 사에 인증서 수여 수원 김주홍 기자 = 코로나19와 글로벌 경기침체 등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일자리 창출과 민생경제 회복에 힘쓴 경기도 중소기업이 ‘일자리 우수기업’으로 인증받았다. 경기도는 18...

Read More
hojinplatech-2ndfactory

호진플라텍 팔곡 공장 준공

㈜ 호진플라텍은 최근의 불확실한 사업환경과 급작스러운 COVID-19 PANDEMIC 상황에서도 또 다른 도약을 꿈꾸며 안산 팔곡 산업단지에 새로운 도전의  장을 마련했습니다. 금번 팔곡 공장은 반도체 등의 최첨단공정에 사용되는 초고순도 및 초정밀의 공정약품을 생산할 ...

Read More
Ti-10_SEM

Ti & Ti alloy seed layer etching process HoplaEtch TI-10

HoplaEtch TI-10은 Ti seed layer의 박리를 위한 공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개발된 약품으로 Ti 뿐만 아니라 TiN, TiO 등 Ti alloy에도 사용이 가능한 약품으로 높은 박리용량과 속도가 특징입니다. 반도체, 디스플레이, 태양전지, 자동차, 인...

Read More
suprastrip yt-10

Yttria 박리 약품 개발

Yttria 박리약품인 SupraStrip YT-10을 개발하였습니다. SupraStrip YT-10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의 챔버 등 코팅되어 있는 Yttria를 제거하는 제품으로서 침적 및 Spray방식으로 사용 가능 합니다. 또한, 이 제품은 Yttri...

Read More
kpca2020_17

Attending KCPA show 2020

안녕하세요? (주) 호진플라텍이 KCPA show 2020에 참가합니다. 관여 종사자 여러분들 많이 뵙고 말씀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. 감사합니다. 일시: 2020.11.24(화)~26(목) 장소: 인천 송도컨벤시아 (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센트럴로 1...

Read More
저융점 솔더 도금 약품 개발 1

저융점 솔더 도금 약품(Low Temperature Solderable Plating Process) 개발

저융점 Solder 도금약품인 HoplaLowsol TLB를 개발하였습니다 HoplaLowsol TLB의 가장 큰 장점은 Pure Tin에 비해 낮은 온도인 150~180℃에서도 안정적으로 솔더링이 가능한 것으로 200℃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작업할 수 없는 반도체, ...

Read More